Bob Krist
(“Danish Light,” July/August 1998)

- Pay attention to the quality of light and not just the subject.
좋은 빛을 찍는 겁니다. 좋은 대상물이 아니예요.

- Shoot in warm light, around dawn or dusk.
새벽녁과 황혼 무렵에, 부드러운 빛 아래서 찍으세요.

- Always take a look at the edges of the view field.
언제나 시각의 가장자리(끝)를 주목하세요.

- Shoot plenty of film.
많이 찍으세요.

- Include a dominant element in the image.
사진에 중심이 될만한 뭔가를 포함시키세요.

- Always carry a polarizing filter and tripod with you.
PL필터와 삼각대를 챙기세요.

Gail Mooney
(“America’s Hometown,” July/August 1998)

- Be an observer. Be patient and watch life as it happens then be ready to
capture the right moments as they present themselves.
관찰자가 되세요. 인내심을 가지고 삶을 지켜보다가 그들의
그 순간을 잡아낼 준비를 하세요.

- Don’t bog yourself down with all the latest gadgets. The real art is being able to communicate and to understand what the message is.
최신 장비에 목매지 마세요. 진정한 예술은 메시지가 무엇인지
교감하고 이해하는데서 시작됩니다.

- A lot of amateurs make the same mistakes: not thinking about what they’re shooting; not considering the light; staying on the outside and not getting in where the action is; using a flash in a big interior where it won’t do any good.
많은 아마추어들은 같은 실수를 합니다 : 자신들이 무엇을 찍는가를 생각하지 않습니다. 빛에 대해 생각하지 않습니다. 피사체에서 너무 멀리 떨어져서 동화되지 않습니다.
넓은 공간에서 쓸모없는 플래시를 사용합니다.

- Never leave home without lots of extra batteries, a small flashlight,
a compass, a magnifier, and a weather radio.
풍경사진을 찍으러 나설 때는 여분의 배터리, 작은 손전등, 컴퍼스, 쌍안경
, 날씨를 알려줄 라디오를 꼭 챙기세요.

Jim Richardson
(“Sojourn on a Southern Highway,” November/December 1998)

- Shoot more pictures and throw away the bad ones. You’ll try more things: angles, exposures, and so on. The one way to get the photo right is to try lots of different approaches.
많이 찍고 좋은것을 골라 내세요. 각도, 노출 등등을 바꿔가며 여러번 찍으세요.
좋은 사진을 찍는 한 방법은 여러 접근방법을 통해 많이 찍는 것입니다.

- The human eye sees differently than a camera, so try to imagine how that image will look in a photograph.
사람의 눈은 카메라처럼 많은 차이를 볼 수 없습니다.
그러니 사진으로 어떻게 찍힐지를 상상해 보세요.

- Don’t just point the camera at the scene. Try to create a sense of depth and put things in the image for scale.
장면의 구도만을 보지 말고, 스케일에 따라 창조적으로 심도를 조절해서
사물들을 집어넣어 보세요.

- Get up early and stay out late.
일찍 나가서 늦게 들어오세요.

- Force yourself to “think little” and to “think big” by doing close-ups and long shots.
You’ll gain a lot in the process of looking for details and grand-scale images.
접사를 찍을땐 작게 생각하고 풍경을 찍을땐 크게 생각하세요.
세밀한 것과 큰 스케일에서 많은 것을 알아낼 수 있습니다.

- Try carrying a right-angle viewfinder and put the camera on the ground or
up high
on a ledge and experiment.
수직 뷰파인더를 써서 사진기의 보는 눈높이를 바꿔보세요.

- Meet the people you are going to photograph and establish
a rapport before you begin shooting.
사진찍는 사람과 먼저 만나서 친해지세요.

- Use wide-angle lenses for close-ups, because it’s easier to create
a sense of perspective.
다가가서 찍을 때는 더 광각의 렌즈를 쓰세요. 원근감을 만들기가 더 쉽습니다.

- Carry a compact folding reflector to illuminate objects in the foreground.
접는 반사판을 가지고 대상물에 앞에 낮은 곳에 두면 빛이 더 삽니다.

- When you are traveling, go to a souvenir shop and pick up a bunch of postcards for the place
you’re visiting. It will let you see how others see each place so you can try to approach it more creatively. Invariably, you will also find something that you didn’t know was there!
여행에서는 관강상품 가게에서 그 지방의 엽서들을 보면 다른 이들이 보는
방법을 볼 수 있고 당신은 더 창조적인 사진을 위한 다른 방법을 찾을 겁니다.
그리고 반드시 그 지방에 있는지 몰랐던 새로운 장소나 볼거리를 찾을 겁니다.

Mark Thiessen
(“Garden of Dreams,” January/February 1998)

- Try to get close enough to your subject to capture the important details.
사물에 더 가까이 다가가서 중요한 디테일을 잡아 내세요.

- Experiment with different types of film in different lighting conditions. For example,
try using tungsten film outdoors, perhaps using a fill-flash with a daylight-to-tungsten gel taped over the head.
여러가지 필름으로 여러가지 상황에서 찍어 보세요.

- Try using a fanny pack rather than a camera bag. It is not only lighter but safer while traveling in foreign countries.
허리에 차는 팩을 사용해 보세요. 가볍고 여행지에서 더 안전합니다.

- Take a tripod, which allows you to use slower speeds and longer lenses during twilight.
삼각대 꼭 챙기세요.

Bill Luster
(“Brown County,” July/August 1997)

- Be as basic as you can in your equipment. Try to use just a camera, a couple of lenses, and not much more. It keeps you thinking about what you’re shooting.
가볍게 꾸려서 다니세요. 카메라 한대와 렌즈 두개, 그리고 약간의 보조장비만 가지고 다녀 보세요. 당신이 찍고 있는것에 좀더 집중하게 됩니다.

- Try to include people in every picture you shoot.
사진에 사람이 들어가야 재미있습니다.

- Make sure you’ve got film in the camera, set the ISO dial,
and don’t shoot into the sun.
항상 카메라엔 필름을 넣어 두고, ISO 다이얼을 맞춰 두세요.
그리고 해를 직접 찍지 마세요.

- Always have a sturdy tripod handy and never leave home without duct tape
in your camera bag. Tape around the camera to keep out dust and water.
You can also writes notes on the tape
to organize caption information at the end of each day.
항상 튼튼한 삼각대를 휴대하시고 종이 테이프를 가방에 챙기세요. 종이 테이프로 카메라를 감아 물과 먼지로부터 보호하고, 또한 테이프 위에 간단히 메모를 해서 그날의 촬영을 마치고 참고할 수가 있습니다.

출처: NationalGeographic.com & pink-weblog.com



------------------------------------------------------------------------------------------------------

백날 읽으면 뭐하노...
나가서 찍어봐야지 ㅋㅋ


●리셋 후 셋팅은 이렇게 하세요.

1. 배터리 (-) 단자 탈거 후 3분 동안 대기.

2. (-) 단자 재 접속.

3. KEY ON 상태에서 10초 동안 대기.

4. KEY OFF 상태에서 10초 동안 대기.

5. 다시 KEY ON 상태에서 10초 동안 대기.

6. 시동 후 웜업 => 액셀 패달을 서서히 밟아주며 3000RPM까지 끌어올리고 30 ~ 40초 동안
유지시켜 줌(여기서 3000rpm은 자주 사용하는 rpm 버위입니다. 전 2500 셋팅했습니다.)

7. 천천히 패달에서 발을 떼면서 RPM을 내려 아이들링 공회전 상태로 유지시켜줌.

8. 부하를 걸어줌(차 내의 모든 전기장치를 차례대로 가동)

=> 미등, 안개등, 상향등, 하향등, 비상등, 에어컨, 열선 등을 켜 주고 30초 동안 유지.

9. 시동 끄고, 다시 KEY ON 상태에서 10초 이상 대기.

10. KEY OFF 후 다시 10초 이상 대기.

11. 재시동 하면 ECU 리셋&셋팅 완료.



---------------------------------------------------------------------------------------------------

ECU 리셋하고 쎄녹스 넣어야겠다..
기름의 압박...ㅠㅠ

yum페도라 업데이트서버를 사용하기에는 너무 많은 시간이 소비된다.
전체 업데이트라도 하는날에는 컴파일 까지 한다면 족히 하루를 잡아먹는다..
그래서 kaist서버로 접속서버를 바꾼다면 단시간에 업데이트가 이루어진다.


한국(kaist)으로 yum repository 변경

# cd /etc/yum.repos.d/
# vi fedora.repo
mirrorlist 을 주석처리 아래에 baseurl 추가하고 아래와같이 입력
baseurl=http://ftp.kaist.ac.kr/pub/fedora/linux/core/$releasever/$basearch/os/

# vi fedora-updates.repo
mirrorlist 을 주석처리 아래에 baseurl 추가하고 아래와같이 입력
baseurl=http://ftp.kaist.ac.kr/pub/fedora/linux/core/updates/$releasever/$basearch

# yum update 실행~

모든 웹 페이지가 HTML 태그로 디자인 한 것은 오래 전 일이 아니다. 이후 CSS가 웹 페이지의 가시적 능력을 확장시키면서 HTML 태그에서 외관 스타일을 끌어내어 스타일 시트에 집어넣었다. HTML은 이제 좀더 성숙하고 안정적인 버전인 XHTML로 성장했다. 그와 함께 웹 페이지의 태그에 대한 용법과 사고방식이 약간 새로와졌다. 이 글은 HTML과 XHTML의 차이점을 소개하기 위한 것이다.

XHTML은 무엇이며 HTML과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XHTML은 eXtensible HyperText Markup Language의 약칭이다. 이것은 여러 면에서 HTML과 아주 비슷하다. 이것은 HTML의 계승자가 되도록 디자인 되었으며 실제로도 그렇다. 기본적으로, 이것은 HTML보다 낫다. HTML은 HyperText Markup Language를 뜻하며, XHTML은 거기에 eXtexnsibel를 추가하였다. 이는 XHTML이 HTML 태그의 힘과 능력을 확장시킨다는 것을 뜻하다.

여러분이 HTML에 익숙하다면 XHTML과 HTML의 차이들이 그 변화만큼 느껴지지는 않을 것이다. 여러분은 XHTML이 상당 부분 HTML을 깔끔하게 만들고 완벽을 기한 것임을 알 것이다. 이제 그 차이점들을 개략해 보자. XHTML 검증을 통과하지 못하는 경우의 대부분은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소홀히 해서 발생한다.

1. 자체적으로 닫는 태그들

XHTML은 태그의 닫기를 강조한다. 여러분은 HTML에서 <p> 태그를 열기만 하고 닫지 않아도 되며, 코드의 유효성을 신경 쓸 필요없이 하루를 즐기면 된다. XHTML에서는 이것은 옳지 않으며, 이러한 코드는 유효하지 않게 될 것이다. 예컨대, 다음 두 가지 코드를 들어보자:

옛 HTML 방식:

<p>멍멍이는 강아지다.
<p>그 털은 눈처럼 하얗다.

더 나은 새로운 XHTML 방식:

<p>멍멍이는 강아지다.</p>
<p>그 털은 눈처럼 하얗다.</p>

XHTML은 이러한 태그들을 닫음으로써 HTML을 완성시킨다. 이러한 닫는 태그들은 언제나 당신이 해야 하는 일이었다. 이제 XHTML과 함께 그것이 강화된 것이다.

2. 모든 태그를 닫는다

이제 XHTML은 모든 태그를 닫을 것을 강조한다. 그저 태그를 열기만 해서는 안된다. HTML에서는 닫는 태그가 없는 줄바꿈이나 이미지와 같은 항목들도, XHTML에서는 자체적으로 닫아야 한다.

HTML 태그들 중에서 <br>, <hr>, <meta>, <link>, <img>는 이제 자체적으로 닫아야 한다.

이 태그들을 자체적으로 닫으려면 태그의 끝에 공백과 슬래시( />)를 추가해야 한다.

<br />
<hr />
<meta name="author" content="Your Name" />
<link rel="stylesheet" type="text/css" href="style.css" />
<img src="image.jpg" alt="image" />

3.이미지 태그는 Alt가 있어야 한다

XHTML에서 이미지 태그는 모두 alt 태그가 있어야 한다. alt 태그는 이제 그림에 대한 편집자의 주석을 대체한다.

<img src="ball.jpg" alt="우리는 쉬는 시간에 공을 가지고 놀았다." />

alt 태그는 이미지 설명을 담아야 한다. 그것이 접근성과 웹표준의 요구사항에 합치한다:

<img src="ball.jpg" alt="빨간 공" />

4. 태그둥우리 순서

이제 태그둥우리는 열린 순서에 따라 열고 닫아야 한다. 잘못된 태그둥우리 순서를 들자면:

<strong><em><u>멍멍이는 강아지다.</strong></em></u>

올바른 태그둥우리 순서는 이렇게:

<strong><em><u>멍멍이는 강아지다.</u></em></strong>

5. 대문자는 허용되지 않는다

HTML에서는 <BR>처럼 태그들을 대문자로 써서 처리해도 된다. XHTML과 함께, 모든 태그는 <br />처럼 소문자로 써야 한다. 소문자와 대문자를 혼용해도 안 된다. 다음은 잘못된 대문자 용례이다:

   <Strong><Em><u>멍멍이는 강아지다.</u></Em></strong>

-고싱가숲에서..-









품목상품명평균가최저가수량합계
CPU 인텔 프레슬러 945 정품 펜티엄D 177,865 170,000 1170,000
RAM 삼성 DDR2 1G PC2-5300  100,511 95,000 195,000
메인보드 GIGABYTE GA-8I945GMH-RH(ViiV)  128,495 124,000 1124,000
VGA Rextech 라데온 X1600Pro Golden 256MB (575/1380) 잘만  137,356 134,000 1134,000
F-HDD 삼성 SATA2 250G (7200/8M) P120 정품  78,894 74,000 174,000
ODD LG DVD-Multi GSA-H10N 화이트 정품벌크  40,154 38,000 138,000
케이스 ParkOnLine X-JAZZ TL301 실버  28,832 28,000 128,000
파워 다오코리아 SFX-375 Dual Fan  39,054 39,000 139,000
부품별 합계
702,000



컴터가 필요한뎅....

생각보다 견적이 쎄다..-.-;;

돈이 애매하요...에궁..



또 다시 이상한 기로에 서고 말았다..

능력문제를 떠나..

자신감 결여다....






졸작발표.....

조져따 ㅆㅂ

왜...그대앞에만 서면 간이 콩알만해져서 땀만 줄줄 나는것일까...ㅎㅎ

지나간일 신경쓰지말고...인도나 갑시다 으띠..








1. Doxygen : 다운로드-윈도우용(doxygen-1.3.5-setup.exe)

2. Graphviz : 다운로드-윈도우용(graphviz-1.10.exe)

3. Doxbar : 다운로드-윈도우용 (doxbar-0.35-bin.zip)

4. html help compiler (version 1.3) : 다운로드(htmlhelp.exe)

1. doxygen 설치하기

* 다운로드받은 doxygen-1.3.5-setup.exe 파일은 윈도우용 설치 프로그램 파일이다. 실행시킨 뒤 원하는 폴더에 설치한다.(디폴트값 : C:\Program Files\doxygen)

* doxygen이 설치된 경로 아래의 bin 디렉토리에서 다음과 같은 도스 명령을 실행시킨다.

doxygen -g [템플릿파일명]

위 도스 명령에서 템플릿파일명을 지정하지 않으면 Doxyfile이라는 이름의 파일이 생성된다.

* 생성된 템플릿 파일을 편집한다. 편집하기를 추천하는 부분은 다음과 같다.

OUTPUT_LANGUAGE = Korean

OUTPUT_LANGUAGE의 디폴트값은 English로 되어 있는데 Korean으로 변경하면 한글화된 문서를 얻을 수 있다.

EXTRACT_ALL = YES

생성 후 비어있는 문서항목들도 모두 표시한다.

EXTRACT_PRIVATE = YES

private 멤버들을 문서화할 것인지 여부.

EXTRACT_STATIC = YES

static 멤버들을 문서화할 것인지 여부

SOURCE_BROWSER = YES

소스에 대한 직접적인 정보링크를 만들것인지 여부

HAVE_DOT = YES

다음에 설명하게 될 클래스관계 그림 생성 여부(by graphviz)

2. graphviz 설치하기

이 프로그램은 클래스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쉽게 그림으로 만들어내는 기능을 수행한다.

위에서 다운로드 받은 파일(graphviz-1.10.exe)은 윈도우용 설치 프로그램 파일이다. 그대로 실행시키면 디폴트값으로 "C:\Program Files\ATT\Graphviz" 경로에 설치가 된다.

3. Doxbar 설치하기

이 프로그램은 Visual Studio 6.0에서 Doxygen을 사용하기 쉽게 해주는 애드인 프로그램이다.

다운로드받은 파일(doxbar-0.35-bin.zip)의 압축을 풀면 다음과 같은 두 개의 파일을 볼 수 있다.

doxbar.chm, doxbar.dll

위 두 개의 파일을 적당한 디렉토리에 복사한다. 예를 들어 C:\Program Files\doxygen\Doxbar 디렉토리를 새로 만들어서 그 안에 집어넣는다.

4. Doxbar 설정하기

지금까지 doxygen, graphviz, doxbar를 모두 설치 완료하였다. 이제부터는 doxygen을 사용하여 프로젝트를 문서화하기 위한 설정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 Visual Studio 6.0을 실행시키고 Tools - Customize... 메뉴를 선택한다. 그리고 Add-ins and Macro Files 탭을 선택한 뒤 Browse 버튼을 눌러서 Doxbar.dll을 선택해주도록 한다.

그림 1.

Doxbar.dll을 등록시키면 위 그림에서와 같이 Doxbar.DSAddIn.1이 추가된다. 이 항목을 선택하고 Close 버튼을 누르면 다음과 같은 툴바가 Visual Studio에 추가된다.

그림 2.

* 다시 Visual Studio의 Tools - Customize 메뉴를 선택하고 Tools 탭을 선택한다.

그림 3.


위 그림에 나와있는 것과 같이 Doxygen이라는 항목을 추가하고 Command 항목값으로 C:\Temp\rundoxy.bat 을 등록한다.

여기에서 등록한 rundoxy.bat 파일을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입력값이다. 따라서 Close 버튼을 누르면 실제로 존재하지 않으므로 수정하겠느냐라는 메시지박스가 나타나는데 아니오로 선택하고 종료하면 된다.

* 그림 2.에서 보이는 Doxbar 툴바 버튼들 중에서 왼쪽에서 두 번째 위치한 버튼이 Doxygen에 대한 환경설정 기능을 수행한다.

환경설정을 수행하기에 앞서 Visual Studio의 Tools 메뉴를 선택하여 방금 전 추가한 Doxygen 툴의 번호가 몇인지를 확인하도록 한다.

그림 4.


위 그림에서는 10으로 표시되고 있다.

* Doxbar 툴바의 두 번째 버튼을 선택하면 다음과 같은 환경설정 대화상자가 나타난다.

그림 5.

앞에서 추가한 Doxygen 툴 메뉴의 번호대로 UserTool<번호>를 입력한다.

그림 6.


위 그림에서는 Doxygen이 실행될 때 실시간으로 만들어지는 배치파일의 경로, doxygen.exe의 경로, 디폴트 템플릿 파일의 경로, 도움말 컴파일러의 경로 등을 설정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그림 7.

위 그림에서 보이고 있는 값들은 디폴트값이다. 그대로 사용하면 된다.

5. Doxygen 실행하기

이제 마지막으로 doxygen을 실행시켜서 프로젝트 문서화를 해볼 차례이다. Doxbar의 맨 왼쪽 버튼을 누르면 Output 윈도우에 주르륵 표시되면서 문서화가 이루어진다.


이 쬐그만 한 놈이 내 가슴을 답답~~하게 만드는구나 ㅠㅠ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