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드햇에서 공식 발표한 RHCE의 시험 기준
- 디스크 파티션 이해 및 Red Hat Linux 설치시 파티션 툴의 사용 방법
- Red Hat Linux 설치에 관한 전반적인 이해 및 능력, 특히 네트워크 설치
- 설치시 구성 요소에 관한 이해 (LILO/GRUB, authentication, networking, system initialization, packages 등)
- 설치 옵션의 post-installation 구성 방법에 관한 이해
- Red Hat Linux 파일시스템 레이아웃 이해
- script가 하는 일 및 /etc/sysconfig/network-scripts 파일 구성에 대한 이해
- multiple-boot 설치에의 다양한 접근 방법 이해 및 때때로 multiple-boot 설치에 사용되는 관련 설치 툴(rawrite, fips)
- kickstart 설치 기본 이해 (kickstart file, floppy- vs. network-based, installation media, boot disk preparation, etc.)
- rpm 명령어 및 switch들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 특히 설치 및 querying of package에 관계된 것.
- 기본적인 source(*.src.rpm) rpm packages 요소에 대한 이해
- system recovery를 위한 rescue 환경으로의 부팅 방법 및 사용법
- 여러 종류의 user account 생성법
- user 환경 구성법
- system and user bash configuration files
- quotas, quota concepts 이해 및 user, group quotas 방법
- cron system 이해 및 cron을 사용해서 scheduled jobs를 셋팅하는 방법
- 필수 커널 개념 이해 (monolithic vs. modular kernels, initial ramdisks, etc)
- 커널 소스 설치 및 Linux 커널을 rebuild하기 위해 필요한 개발 툴
- 소스로 부터 Linux 커널과 모듈을 구성, build, 설치하는 법. LILO/ GRUB 요소, 부팅 절차 및 구성에 대한 이해
- Apache, Samba, NFS, basic sendmail, POP3/IMAP4 email, DNS, and ftp 등 network services에 대한 이해
- 기본적인 troubleshooting을 할 수 있도록 그런 서비스의 function, configuration, logging에 대한 충분한 이해 필요
- 위의 서비스를 위한 access 제한 방법
- Red Hat Linux에서 지원되는 다른 network services : squid, innd NNTP server, xntpd, etc.
- 일반적인 X 이해 및 특히 XFree86 X server에 대한 이해. (configuration file 및 그 파일을 수정하는데 사용되는 툴 포함)
- Red Hat Linux 상에서 가능한 윈도우 매니저와 데스크탑 환경 선택 및 방법 이해
- remote login과 remote client를 포함한 remote로 X 사용하기
- xinetd 역할 이해 및 tcp_wrappers 보안 방법의 실행법 이해
- 기본적인 NIS 개념 이해 및 NIS와 관련된 components.
- PAM subsystem의 목적 이해, 기본적인 PAM 구성 변경법
- router로서의 Red Hat Linux 사용과 관련된 configuration issues : routing options, IP forwarding, and kernel configuration
- 기본적인 firewall 정책을 실행하기 위해 iptables 사용하기, Red Hat Linux에서의 User Private Group scheme 이해
빨간모자 아저씨 당신을 이제 정복하러갑니다 ㅋㅋ